호일 양면에 '폴리실록세인'으로 코팅
고열 가하면 분자 구조 느슨해져 배출
많은 사람들이 에어프라이어 바닥에 깔아서 사용하는 '종이 호일'이 고열을 가하면 미세플라스틱이 배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요리 재료를 놓기 전 프라이팬 위에도, 에어프라이어나 오븐 안에도 많은 사람이 '종이' 호일을 깐 채 조리한다. 종이니까 은연중에 안전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잘못된 생각이다.
종이 호일은 종이 위아래에 흔히 실리콘이라고 알려진 성분인 폴리실록세인(polisiloxane)이란 성분을 위·아래로 코팅한 제품이다. 이 성분은 상대적으로 무해하다고 알려진 데다, 염분과 산성에 강해 여러 요리 제품을 포장할 땐 안전하다.
문제는 열이다. 프라이팬, 에어프라이어, 오븐 등으로 열을 가하면 분자구조가 느슨해지면서 이 물질들이 풀어져 음식으로 들어가게 된다. 실제로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유기화학 연구소 위르겐 H. 그로스(Jürgen H. Gross) 교수 연구팀이 종이 호일을 베이킹할 때 사용한 후 식품의 접촉 표면을 분석했더니, 실록세인 중합체가 검출됐다.
이렇게 나온 성분이 바로 미세 플라스틱이다. 제품마다 다르지만 보통 종이 호일이 약 220~240도 정도 견딜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전부터도 실리콘성분이 조금씩 분해돼서 용출될 수 있다. 특히 가스레인지 불은 약 1000도여서 프라이팬 표면 온도가 200도 이상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종이 호일을 높은 열에 가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10여년 전 '알루미늄 호일'의 유해성이 지적되기 시작하면서 '종이 호일'은 이를 대체할 제품으로 주목을 받았다. 천연펄프로 만들어져 훨씬 친환경적이고 종이니까 유해물질 걱정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종이 호일'은 친환경적이지 않았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고 있다.
이처럼 종이 호일은 천연펄프를 사용했기 때문에 친환경인증제품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리콘 성분이 코팅된 종이 호일은 코팅지로 만들어진 종이컵, 영수증, 종이 봉투와 마찬가지로 종이로 분리배출할 수 없고 일반쓰레기로 버려져 소각하거나 매립되기 때문에 '친환경' 제품이라고 보기 어렵다.
문제는 우리나라 사람들 상당수가 고열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종이 호일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등어나 삼겹살 등 기름이 많이 나오는 재료를 조리할 때 뒷처리를 깔끔하게 하기 위해 종이 호일을 사용하기도 하고, 에어프라이어의 경우엔 전용 종이 호일이 나오기도 한다.
가스레인지 불의 온도는 평균 1000℃여서 프라이팬 표면 온도는 최소 200℃에 달하는데 여기에 종이 호일을 놓고 고기를 구우면 미세플라스틱이 음식에 묻어날 수밖에 없다. 에어프라이어 역시 평균 180℃ 이상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런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현재 종이 호일에서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 유해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 '유해물질 검출 위험'이 있다고 단언하긴 힘들다. 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았을 뿐 무해하다고 볼 수 없다. 최근에는 스티로폼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밝힌 연구도 나오고 있어 종이 호일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역시 조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유해한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 무해하다고 증명된 게 아니라, 말 그대로 유해할 수도 있는데 아직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인 것. 지금까진 세포의 방어기전으로 실제로 체내 흡수되는 양은 많지 않지만, 특정 취약 세포에선 미세 플라스틱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해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 수치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론 신경세포가 있다. 서강대 화학과 이덕환 교수는 "종이 호일을 조리해 나온 실리콘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절대 먹어도 되는 성분이라는 뜻이 아니다"라며 "종이 호일을 열에 가하는 건 비위생적이다"고 말했다. 또 우리 몸에서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중금속과 결합할 가능성이 큰데, 이렇게 중금속과 결합한 미세플라스틱이 어류를 통해 결국은 우리에게 돌아오게 된다.
한편, 알루미늄 호일은 당연히 좋지 않다. 열에 약할 뿐만 아니라 산성, 염분에 모두 약해 그냥 식품을 포장하는 것만으로도 알루미늄이 용출돼 식품으로 옮겨갈 수 있다.
'리빙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에 해로운 음식 vs 좋은 음식 (0) | 2023.03.09 |
---|---|
대장내시경은 자주 받을수록 안전할까 - 대장암이 발생하는 이유 / 암을 막는 NK세포 (0) | 2023.03.09 |
잘못 알고 있는 건강 상식들 - 탄산음료가 소화에 좋을까 ? (0) | 2023.03.03 |
스태미너 음식 성분 효능 (0) | 2023.03.03 |
마그네슘 부족증상 / 효능 / 풍부한 음식 /눈 떨림 (0) | 2023.03.03 |